139.
◐ 이 때문에 과학자들은 예측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각종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 2022. 02. 13. 21:45)
캐나다 밴쿠버 연안에서 빌딩 4층 높이의 거대한 파도가 관측됐다. 2020년 11월 관측했는데 과학적으로 분석하느라 이제야 발표한단다.
‘예측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이라는 표현은 ‘예측 가능성을 높이도록’이라고 하면 훨씬 간단하다. ‘-일 수 있도록’이라는 말은 군더더기로서 필요 없는 표현이다. ‘예측 가능성이 높아지도록’이라고 해도 되겠는데, ‘가능성’이 주어 구실을 하는 게 못마땅하다. ‘-어(아)지다’처럼 피동형으로 쓰는 것도 별로다.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라는 말은 필요 없이 서술어를 늘려 쓴 경우다. ‘추진’이라는 말은 ‘목표를 향하여 밀고 나아가다’라는 뜻인데 여기서는 그냥 ‘연구를 하고 있다’라고 하면 그만이다. 깔끔하고 분명해진다.
140.
◐ 운전자는 보행자가 건널목을 통행할 때는 물론 통행하려고 하는 때에도 일시 정지해야 한다. (2022. 02. 13. 22:31)
운전자가 일시정지를 해야 할 때 하지 않아 해마다 사고가 늘어난다. 지난 4년 동안 사상자가 33%나 늘어났다. 올해 7월부터는 ‘일시 정지 의무를 강화한다’고 하니 미리미리 운전 습관을 바꾸어야 한다.
보행자가 건널목을 건너는 것은 ‘통행’이다. ‘통행’이 ‘어떤 길이나 공간을 통해 지나다닌다’라는 뜻이니 틀리지 않았다. 그런데 좀 이상하다. 건널목은 그냥 ‘건넌다’라고 말하지 ‘통행한다’라고는 하지 않는다. ‘운전자는 보행자가 건널목을 건널 때는 물론 건너려고 하는 때에도 일시 정지해야 한다’라고 하면 훨씬 쉽다. 굳이 한자말을 쓸 필요가 없다.
141.
◐ 당사국인 우크라이나는 애써 침착한 반응을 보이는 모습이다. (2022. 02. 13. 21:39)
미국은 러시아가 2월 16일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것도 조 바이든 대통령이 직접 언급했다. 여러 나라가 우크라이나 대사관 직원과 여행객에게 하루빨리 도망가라고 권하고 있다. 괜히 어영부영하다가 전쟁 통에 목숨을 잃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우크라이나는 침착한가 보다. 대단한 나라다.
‘애써 침착한 반응을 보이는 모습이다’는 서술어 부분을 쓸데없이 길게 늘어뜨린 경우다. ‘~ 모습이다’는 여러 문장에 자주 나오는데 거의 대부분 잘못 쓴 경우라고 해도 된다. 위 기사의 경우 ‘애써 침착하게 반응하고 있다’라고 하면 된다. ‘당사국인 우크라이나는 애써 침착을 유지하고 있다’라고 해도 되겠다.
'기사 문장 다르게 써 보기 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6-138) 기사 문장 다르게 써 보기 연습 (0) | 2023.05.30 |
---|---|
(133-135) 기사 문장 다르게 써 보기 연습 (0) | 2023.05.30 |
(130-132) 기사 문장 다르게 써 보기 연습 (0) | 2023.05.19 |
(127-129) 기사 문장 다르게 써 보기 연습 (0) | 2023.05.18 |
(124-126) 기사 문장 다르게 써 보기 연습 (0) | 202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