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동군 악양면4

조준구는 몇 번 넘어지는가 어울림 결의 5월 30일 산청군 동의보감촌에서 마당극 이 열렸다. 극단 큰들이 새롭게 창단한 2팀이 처음 공연하는 날이었다. 같지만 완전히 다른 을 보면서 무척 즐거웠던 기억이 있다. 이날 공연을 함께 본 경상대 직원 셋이 진주시 평거동 ‘어울림’에 모였다. 원래 같이 가려다가 사정상 못 간 한 명이 합류했다. 넷이 막걸리 몇 잔에 파전 안주로 즐거움을 이어갔다. ‘어울림’ 주인이 한국방송공사(KBS) 라는 방송에 나오게 됐다고 말했다. 평거동 일대를 이틀 동안 촬영해 갔는데 6월 27일 토요일 저녁에 방송된다고 했다. 우리는 참 신기한 일도 다 있다고 맞장구를 쳐 주었다. 내가 제안했다. 6월 27일 토요일엔 하동에서 를 공연하는 날인데, 넷이 함께 공연을 본 뒤 다시 ‘어울림’에 모여서 막걸리도 마시.. 2020. 6. 28.
마당극 <최참판댁 경사 났네>의 몇 가지 특징 전 세계에서 마당극을 가장 잘하는 극단 큰들이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 최참판댁에서 상설 공연하는 작품 의 몇 가지 특징을 알아본다. 이 글은 학술적인 글도 아니고 전문적인 글도 아니다. 그저 마당극을 수십 번 보다가 대충 알게 된 잡스런 정보라고 할 만하다. 이맛살 찌푸리며 들여다볼 이야기가 아니다. 혹시 마당극 를 보러 가는 사람이 이 글을 미리 읽는다면 더 재미있지 않을까 싶긴 하다. 1. 원작이 있다. 극단 큰들이 현재 성황리에 공연 중인 작품은 를 비롯해 , , 이 있다. 도 볼 수 있다. 이들 작품 가운데 와 는 원작이 있다. 눈치 빠른 사람은 벌써 알아보았겠지만 는 박경리 선생의 대하소설 ≪토지≫가 원작이다. 200자 원고지 4만 장에 이르는 어마어마한 소설을 1시간짜리 마당극으로 만들어 냈다... 2020. 5. 7.
‘무딤이들’에서 듣는 노래 “하동~하동~” 진주에서 국도로 1시간 정도 달리면 하동에 닿는다. 하동. 이름이 마음에 든다. “하동”이라고 말할 때 “하”에서 입을 벌리게 된다. 입꼬리를 양옆으로 찢는 것보다 아래위 턱을 마음껏 벌려 발음하는 게 마음에 든다. 하늘, 하루, 하양, 하마, 하품 같은 말이 떠오른다. “동”이라는 말.. 2019. 10. 14.
권총 쏘는 나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서 열리는 큰들 마당극 &lt;최참판댁 경사 났네&gt;에서 관객과 배우가 하나 되어 일본군을 향하여 권총을 쏘는 장면입니다. 군대에서는 ‘엠16’만 다루었는데 이렇게 한참 늦은 나이에 권총을 쏴 봅니다. 이렇게 많은 ‘독립군’들이 한꺼번에 권총을 쏘았으니 일.. 2018. 11. 2.